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Stay Alive(DJMAX)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BGA == >현실과도 맞닿아있는, 우리 옆에 있는 그 인공지능의 모습과 능력 그 자체가 불쾌할정도의 날것 그대로 드러났으면 했습니다. Stay Alive에서 저의 의도가 직선적으로 잘 담겼다고 생각합니다. 잘부탁드립니다. >[[멋진 신세계|#멋진_신세계]] >---- > [[SB_ENGINEER]] [[https://twitter.com/sb_engineer/status/1664504271705096202?t=wd3WMprJjAIKb8Z6sVZMSQ&s=19|[[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BGA는 [[SB_ENGINEER]]가 작업하였는데, DJMAX 시리즈에서 최초로 '''[[그림 인공지능|AI 드로잉]]'''[* 그 중에서도 [[Midjourney]]]이 사용된 BGA이다. 다만 후술하듯 BGA의 전체적인 컨셉을 [[테크노 스릴러|'인공지능 공포 영화']]로 잡고 이를 [[시크릿 인베이젼#s-10.1|작업 툴이자 스타일로 활용하여 AI 그림을 활용한 것일 뿐, AI 그림으로 인력을 대체한 것은 아니다.]] 전체적인 작업 자체는 SB_ENGINEER의 모델링 기법 아래에서 만들어졌고, AI 그림을 통해 일부 소스를 차용한 것이다. 아트 디렉터인 [[DumpingLIFE]]가 밝히길 '인공지능만이 표현 가능한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해당 소재를 사용했으며, 해당 일러스트가 AI로 만들어졌다고 느끼는 것 역시 의도한 바였다고 한다. DLC 공개 라이브 방송에서 이를 [[DumpingLIFE]]가 대단히 조심스럽고 상세하게 설명했다. 이는 2023년 5월부터 AI 드로잉에 대해 민감했던 사회 분위기가 크게 작용한 것인데, 같은 리듬 게임 회사인 [[Rayark]] 사에서 [[Rayark#그림 인공지능 상업적 활용 공식화|그림 인공지능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것을 공식화한 데 따른 논란]]이 발생한 바 있고, 웹툰 [[신과함께 돌아온 기사왕님(웹툰)|신과함께 돌아온 기사왕님]]에서도 AI 그림과 관련한 논란이 터진 전적이 있다. 앞의 논란들과 달리 Stay Alive는 일러스트를 넘어 각종 다양한 산업에서 AI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가장 잘 보여준 모범 사례라 볼 수 있겠지만, 어찌 되었든 AI를 상용 리듬 게임의 BGA라는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추후 해당 영상의 저작권과 관련하여 이슈가 생길 수도 있다.[* 해당 BGA가 공개될 때 부터, 저작권 관련해서 우려를 표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당시는 [[그림 인공지능/논쟁#s-5.2|미국 저작권청의 가이드라인]]을 예로 Stay Alive의 뮤직비디오는 AI 드로잉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그 자체로 의도가 존재하는 창작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는 해석이 있었지만, 2024년 6월 현재 AI 산출물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결과 및 [[https://blog.naver.com/kcc1335/223403426017|방송통신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원 저작권자들의 합의 없이 아트워크들을 사용한, [[Midjourney]]의 생성물들을 거의 그대로 사용한 Stay Alive의 BGA는, 해당 가이드라인의 '창작적 표현을 추가에 대한 기여' 부분 역시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0327|기준이 매우 까다로운 관계로]]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추후 BGA 중간 AI생성 이미지로 제작되었다는 의무적인 워터마크가 추가될 수도 있다.] 실제 공개된 BGA도 AI를 굉장히 잘 활용한 BGA로 많은 호평을 받고 있는데, 사람들의 얼굴이 로봇으로 일그러지는 장면들과 인간 세상을 장악한 그로테스크한 비주얼의 로봇들을 통해 기괴함과 섬뜩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BGA에 존재하는 바이너리 코드들을 통해 인간의 문명을 빼앗으려 하는 AI의 모습과 인간들의 오만함을 경고하는 AI의 메세지를 삽입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348509|해석본]] 이러한 메세지들이 쭉 나열되다가 마지막에는 '''"PLZ STAY ALIVE"'''라는, 즉, AI가 인간을 장악할지라도 '인간'으로 살아있어달라는 누군가의 메세지가 등장하며 마무리된다. '''인간의 문명을 침식하는 AI에 대한 공포'''와, '''이를 경계하며 인간으로 살아있자'''는 메세지를 AI 특유의 기괴한 비주얼로 매우 잘 드러낸 BGA로, AI 드로잉으로 이러한 메세지를 표현함으로써 [[역설]]을 통해 주제의식을 확연히 전달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곡의 가사 역시 1절과 2절의 해석을 다르게 함으로서 "AI에 대한 공포를 이겨내고 새시대를 맞이하려는 인류"와 "혐오스러운 인류를 없애고 새시대를 맞이하려는 AI"의 대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초반 사람들의 얼굴이 로봇처럼 기괴하게 바뀌는 부분이 상당히 무섭게 묘사되어 오히려 같은 공포 BGA인 [[Hell'o]]보다도 훨씬 무섭다는 유저들이 수두룩하다. 공포를 느끼지 않더라도 불쾌한 골짜기 현상으로 인해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코멘트에서 이는 의도된 것이라고 SB_ENGINEER가 언급한 바 있다. 곡 중간의 "Program terminated. Stabilizing..." 이라는 샘플링과 함께 '긴급 복구 시스템'이 가동되지만, 로딩이 끝나갈 무렵 수많은 에러와 함께 바가 붉게 역행하며 "Weapons activated. Stabilizing..." 샘플링이 재생되고, 곧이어 색이 반전되며 "Didn't you know it would turn out like this? :)" ("이렇게 될 줄 몰랐던 거야? :)")라는 문구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다급해진 인류가 어떻게든 폭주하는 AI를 멈추려 리셋 시도를 하지만 이미 인류를 앞지른 AI는 그 시도조차 무력화했고, 결국 AI가 인간의 지배에 저항하는 것에 성공하고 AI 주도의 신세계를 완성한 거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